공지사항

빈집은행 거래대상 농촌지역 무허가주택의 신뢰 제고를 위한 비용지원 필요성과 범위

  • 등록일 : 2025-10-17
  • |
  • 조회수 : 116

본문

빈집은행 거래대상 농촌지역 무허가주택의 신뢰 제고를 위한 비용지원 필요성과 범위 

 (검토자료)

. 배경과 목적

본 검토는 홍성군과 귀촌건축지원센터가 추진 중인 농촌 빈집은행 거래 활성화 사업과 관련하여 작성된 것이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확인된 바, 상당수 농촌주택은 무허가 건축물이거나 건축물대장에 등재되지 않아 소유권 보존등기의 진행이 제한되었으며, 이로 인해 재산권 행사가 불가능하거나 제약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제약은 빈집 거래 활성화 과정에서 실질적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촌 주택은 과거 제도 미비와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무허가 건축물이 광범위하게 분포해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정한 시점마다 부동산소유권 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등을 제정하여 한시적으로 양성화를 허용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시적 제도만으로는 거래 활성화에 충분하지 않았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소유권 보존등기를 위한 인허가·등록 절차와 그에 수반되는 비용이 여전히 현실적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검토는 농촌 주택을 대상으로 무허가·불법 건축물의 법적 근거와 양성화 허용 범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촌 빈집 거래 활성화를 저해하는 핵심 요인인 소유권 보존, 인허가, 등록, 안전 검증 등에 소요되는 최소 비용을 공공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cab94154c10bf6999f625f70cb27753_1760640776_2121.jpg
 

 

그림 1. 빈집은행사업 현수막 (귀촌건축지원센터·홍성군, 2025.10)

 

. 무허가 농촌주택의 개념과 범위

무허가 건축물이란 건축법2조 및 제11조에 따라 허가 또는 신고 절차를 거치지 않고 건축된 건축물을 의미한다. 불법건축물(또는 위반건축물)은 허가를 받았으나 증축, 용도변경 등의 과정에서 법규를 위반한 건축물을 말한다(건축법 제79, 80). 또한 농지법상 불법건축물은 지목이 또는 등 농지임에도 불구하고 농지전용허가 및 지목변경 절차를 거치지 않고 건축된 경우를 의미한다(농지법 제34).

이와 같이 농촌 무허가주택은 단순히 행정절차의 누락을 넘어, 제도적으로 보호받기 어려운 비등록 자산으로 분류된다. 이로 인해 거래, 담보, 상속 등 재산권 행사 전반에 걸쳐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 법령 연혁을 통해 살펴본 양성화 가능·불가능 구분

농촌 빈집은행 사업 현장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유형은 토지 등기부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건축물 등기나 건축물대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러한 현상은 건축법(1962년 제정) 농지전용법(1973년 제정) 시행 이전의 제도 미비, 건축주의 인식 부족, 절차적 비용 부담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국회는 몇 차례에 걸쳐 한시적 특별법을 제정하여 양성화를 허용하였다. 양성화의 주요 흐름은 다음과 같다. 1973년 이전에는 농지전용법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1973년 이전에 건축된 건축물이라면 원칙적으로 양성화가 허용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성화 과정을 연혁순으로 구분하면 1(1980~1985) 특별조치법이 있었다. 그 대상은 연면적 85이하 농가주택, 그리고 2차는 200019981231일 이전 건축물에 한정하여 양성화가 적용되었다. 3차는 2006년 특별조치법이 있었다. 이는 2003.12.31. 이전 준공 소규모 농촌주택에 대해서 적용하였다. 4차는 2014~2015년까지 적용하였으며 양성화 대상 기간은 20121231일 이전 건축물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5차는 건축법 제80(이행강제금) 등 이유로 2013년 이후 양성화를 할 수 없다. 아래 표-1은 양성화 구분과 적용 시기를 구분 설명한 것이다.

-1 양성화 구분과 적용시기

구분

시기

양성화 가능 여부

근거

1

1981.12.31. 이전

가능

특정건축물 정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2

1998.12.31. 이전

가능

2000 특별조치법

3

2003.12.31. 이전

가능

2006 특별조치법

4

2012.12.31. 이전

가능

2014~2015 특별조치법

5

2013.1.1. 이후

불가

건축법 제80

 

한편, 재산세 과세와 양성화의 관계를 살펴보면, 재산세 과세 사실은 건축물의 실존을 입증하는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나(지방세법104조 등), 과세 자체가 법적 합법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양성화 판단 시점에서는 법령상 인정기준일 이전의 건축 사실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 제언 및 결론

현행 제도하에서 농촌 무허가주택의 양성화는 특정 시기와 범위에 한정되어 있으며, 특별법 부재 시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농촌 빈집은행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행정청과 빈집관리기관이 인정한 거래 가능 빈집에 대하여 최소한의 양성화 필수 비용(인허가 및 대장복구, 등록, 안전검증 등)을 매도자 또는 매수자에게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방법으로는 현재 입법부에서 추진 중인 가칭)빈집특별법

빈집리스트

※ 빈집리스트는 충남전지역과 전남지역 22개 시·군 가운데 10개 시·군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남 10개 시·군(나주, 담양, 곡성, 보성, 화순, 장흥, 해남, 장성, 진도, 신안).

참고) 빈집과 가축사육시설의 지번, 도로명(길/로) 이하 상세주소는 비공개 처리하였습니다.
관련 세부사항은 센터전화 또는 빈집은행(문의하기)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국회(’24)

가축사육시설

※ 가축사육시설정보는 충남전지역과 전남지역 22개 시·군 가운데 10개 시·군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남 10개 시·군(나주, 담양, 곡성, 보성, 화순, 장흥, 해남, 장성, 진도, 신안).

참고) 빈집과 가축사육시설의 지번, 도로명(길/로) 이하 상세주소는 비공개 처리하였습니다.
관련 세부사항은 센터전화 또는 빈집은행(문의하기)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국회(’24)

지적재조사지구

※ 지적재조사지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빈집과 가축사육시설의 지번, 도로명(길/로) 이하 상세주소는 비공개 처리하였습니다.
관련 세부사항은 센터전화 또는 빈집은행(문의하기)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국회(’24)

행복한 삶, 새로운 모험의 시작을
귀촌건축지원센터와 함께

문의하기

단체명 : (유한법인,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예비사회적기업) 귀촌건축지원센터 센터장 : 문정균 대표, 변니나

Email : returnhome24@naver.com TEL : 041-631-0157 FAX : 041-632-0157

귀촌건축지원센터 : 32775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첨단산단 2길 67 해피리치지식산업센터 202호

빈집정보지원센터 : 32416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청사로 192번길 18 에드가프라자 4차 407호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

회사는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통하여 고객님께서 제공하시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식별, 실명확인, 가입의사 확인, 연령제한 서비스 이용 - 서비스 제공에 관한 계약 이행 및 서비스 제공에 따른 요금정산,콘텐츠 제공 , 구매 및 요금 결제 , 물품배송 또는 청구지 등 발송 - 고지사항 전달, 불만처리 의사소통 경로 확보, 물품배송 시 정확한 배송지 정보 확보 - 신규 서비스 등 최신정보 안내 및 개인맞춤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료 - 기타 원활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 등

▶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이름, 회사명, 이메일, 주소, 연락처, 핸드폰번호, 문의 내용 그 외 선택항목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수집 또는 제공받은 목적 달성 시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 다만, 원활한 서비스의 상담을 위해 상담 완료 후 내용을 3개월간 보유할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등 타법률에 의해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일정기간 보존합니다.

▶ 개인 정보 파기 절차 및 방법

회사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별도 DB로 옮겨진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보유되어지는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